거의 일주일 동안 읽었다. 이 책이 잘 읽히는데 너무 여기저기 할 일이 많아서 오래 걸렸다.
이 책이 베스트 셀러인 이유는 교수님의 권위와 유명세도 있겠지만, 책에서 다루는 내용이 단순히 기록과 글쓰기에 집중한 것이 아닌 인생과, 일, 생각, 일상, 대화, 공부까지 인생 전반에 대한 것들을 다루고 있기 때문인 것 같다.
기록으로 얼마나 삶이 풍요로워질 수 있는지, 기록을 하면 실질적으로 현실에 도움이 되는 점이 무엇인지 왜 기록이 삶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서 잘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기록은 항상 간단하고 핵심만 요약해서 해야 한다.
강의 때 모든 말을 다 따라적으면 결국 나중에 기억에 남는 것이 없게 된다.
다시 보면서 핵심으로 요약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면.
그리고 이 책에서 강조하는 것 중 하나가 자기화라고 느꼈다. 자기가 이해한대로 문장을 다시 작성해봐야 결국 내 지식이 된다.
<내가 하이라이트 했던 문장들>
우리가 매일 접하는 엄청나게 많은 지식이 거의 다 날아가고 있는데 그게 아깝지 않은가? 아까운 정도가 아니라 위기를 느껴야 한다. 우리는 이렇게 하루하루 성장할 기회를 놓치고 있다
‘기록하고 되뇌고 말하라.’ 이것이야말로 기억을 잘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책을 읽으면서 ‘생각’하십니까?” 성장으로 연결되려면 반드시 '생각'이라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 순간의 생각
자기화 - 나만의 방식으로 해석했기 때문이다.
순간의 생각과 자기화를 의식적으로 하기 위해 기록을 활용하라. 반드시 생각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지적인 사람과 지성을 갖춘 사람은 지식을 잘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인식을 낳거나 통찰력을 발휘하는 등의 더 큰 능력을 가진 사람이기 때문
부족하다는 사실을 알면, 그것을 채워 나가는 건 얼마든지 가능하다.
가능성 - 결핍된 부분을 채우려고 노력하면 그 자체로 새로운 성장 가능성이 열린다.
내면이 텅 빈 사람은 없다. 잠재성 - 당신이 경험해 온 것이 당신의 머릿속과 몸속에 내적 자산으로 남아 있다.
물처럼 흘러가는 생각, 심상, 회상, 기억, 감정 등 우리 안에 내포된 것을 명시화함으로써 우리는 잠재성을 현실 능력으로 활용할 수 있다. / 메모를 안 하는 사람은 잠재성을 깨우지 않는 사람이다.
교수님이 가장 강요하는 것은 ‘한 가지 주제에 대해 끝까지 생각하는 힘’이다.
Plan Do See’ 원칙 계획하고, 실행하고, 결과를 평가하기
목적과 주제를 명확히 정해 생각
정리되어 있지 않은 생각은 계획이라고 할 수 없다.
구성과 시퀀스 / 한 가지 사항에 대해 생각을 모으고 하루 이틀 동안 반복적으로 생각한다. 그렇게 해서 종국에는 메모하고 글로
인생에서 중요한 일과 덜 중요한 일을 구분
KMN 작업법을 통해 40분 집중해서 일하고 20분 휴식하라고 제안
많은 현대인이 자신의 인생을 자기 것이 아닌 것처럼 느낀다. 열심히 살아가는 건 좋지만 그 열심이 내가 원하는 열심인지, 나의 내면을 깎아 먹지는 않는지 생각해 보지 않는 건 아주 위험하다.
자기를 돌아보라. 내가 누구인지, 어떤 삶을 살고 있는지, 어떤 삶을 살고 싶은지 진짜 욕망을 보라. 그러면 희미하던 내가 점차 명확하게 보이기 시작할 것이고, 이것은 생각의 변화로 이어질 것이다.
마음이 힘들다면 그것에 대해 써 보자.
과정을 거쳐야만 긍정적인 생각으로 이어지게 된다.
일 하는 사람의 2가지 유형
1. 일을 하는 것 자체가 재미있고 그게 자신의 의미인 경우다.
2. 자신이 원하는 것과 일이 서로 맞지 않는 경우
현재의 모습은 스스로의 선택이며 과거에 원인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현재의 내 모습을 탓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
『백만장자 시크릿』은 부자가 되고 싶은 사람뿐 아니라 내적으로 성장하고 싶은 사람들에게도 좋은 책
긍정적인 무의식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긍정의 에너지가 지속되어 좋은 결과가 나오고, 거꾸로 부정적인 무의식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성장하거나 성공할 수가 없다.
배움과 성장만이 우리에게 진정한 자유를 줄 수 있는 까닭이기도 하다.
쓰기만 하는 사람으로 살 것인가, 기억하는 사람으로 살 것인가
암묵지, 명시지
얼개 - 글을 써 나가는 데 내비게이션 같은 역할
기획은 재능보다는 습관에 가깝다. 반복하다 보면 늘고, 반복해 봐야만 이해할 수 있다.
현재화된 상태로 살아 숨 쉬게 하는 일
경험 기록은 크게 일상 기록과 일 기록으로 나뉜다
자기가 정말 하고 싶은 게 있다면 그 일과 연관된 것을 의식적으로 하루 계획에 끼워 넣으라는 것이다.
하루 계획도 아침에 세우는 것보다는 전날 밤에 간단히 메모
내 삶의 핵심(꿈)과 오늘 하루의 핵심(일정), 이 두 가지를 매일 아침 놓치지 말고 챙기자. 나는 이런 루틴에 익숙해져서 기록으로 하루를 시작하지 않으면 오히려 마음이 불편하다.
이런 상태를 며칠간 이어 가는데 어떻게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을 수 있겠는가?
핵심 성공 요인
작가님이 이 책 다음에 출간한 책인 파서블이라는 책도 다음에 읽어보고 싶다.
별생각 없이 그냥 베스트셀러고 나는 글쓰기 좋아하니까 읽어봐야지 하고 읽었는데, 생각보다 얻을 것도 많고 만족스러웠던 책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초보자를 위한 재미있는 주식어휘사전 - 황족 (0) | 2024.02.23 |
---|---|
요즘 사는 맛 - 김겨울, 김현민, 김혼비, 디에디트, 박서련 외 7 (1) | 2024.01.27 |
기분이 태도가 되지 않게 - 레몬심리 (1) | 2024.01.13 |
사랑에 관한 거의 모든 기술 - 김달 (1) | 2024.01.08 |
만일 내가 인생을 다시 산다면 - 김혜남 (0) | 2024.01.05 |